상생페이백 신청자 급증, 최대 30만원 환급받는 방법

상생페이백 환급 안내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9월 15일부터 시행한 상생페이백 신청자가 한 달 만에 1,058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9월 사용분에 대해서는 415만 명에게 2,414억 원이 지급되었으며,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 8천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되는 이 프로그램은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실질적인 민생회복 지원사업입니다.


상생페이백이란?

상생페이백은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본인의 카드 소비액이 2024년 월평균 소비액보다 증가한 경우,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정부 지원사업입니다.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총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이 100만 원이고 2025년 9월 사용액이 150만 원이라면, 증가분 50만 원의 20%인 1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신청 대상 및 방법

신청 자격

  • 만 19세 이상 국민 및 외국인
  • 2024년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 보유자

신청 기간

  • 2025년 9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 11월 30일까지 신청하면 9~10월 소비 증가분도 소급 적용

신청 방법 

상생페이백.kr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됩니다. 한 번만 신청하면 3개월간 자동으로 환급됩니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소비액 인정 및 제외 기준

인정되는 소비

  • 국내 중소·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카드 단말기로 결제한 금액
  • 삼성페이, 애플페이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한 금액

제외되는 소비

  • 백화점, 대형마트, 아울렛 등 대형 유통업체
  • 온라인 쇼핑몰, TV홈쇼핑 거래
  •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점 및 주유소 직영점
  • 키오스크, 테이블오더 등 PG 결제 시스템
  • 유흥·사행업종, 대형병원, 면세점

가맹점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결제 전 상생페이백 홈페이지나 전용 콜센터(1533-2800)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활용 방법

상생페이백으로 받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약 13만 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기간은 5년입니다.

사용처

  • 전통시장 및 상점가 소상공인 매장
  • 동네 상권의 음식점, 병원, 학원 등
  •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업체
  • 온라인 전통시장관, 우체국쇼핑 등 온라인몰

사용 방법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QR 코드 결제 또는 등록한 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앱 내에서 충전, 결제, 잔액 조회, 사용처 검색이 모두 가능하여 편리합니다.

추가 혜택 전통시장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면 사용금액의 최대 4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어 연말정산 시 절세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상생소비복권 이벤트

9월 15일부터 10월 12일까지 상생페이백을 신청한 경우,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카드 사용액 누적 5만 원당 1장씩 상생소비복권이 자동 응모됩니다. 총 2,025명에게 10억 원 상당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지급됩니다.

  • 1등: 2,000만 원(10명) - 비수도권 소비자만 해당
  • 2등: 200만 원(50명)
  • 3등: 100만 원(600명)
  • 4등: 10만 원(1,365명)

    신청자 통계 분석

    지역별 현황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자가 570만 명으로 전체의 54%를 차지했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 6.4%, 경남 6.0%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 현황 30대가 25.4%로 가장 높은 신청률을 보였고, 40대 24.8%, 50대 19.6%가 뒤를 이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상생페이백의 경제적 의미

    상생페이백은 단순한 환급 프로그램을 넘어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상생 경제 모델입니다. 소비자가 받은 환급금을 다시 지역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하면서 경제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2024년 월평균 소비액보다 증가한 금액만을 기준으로 환급하기 때문에 실제로 소비가 늘어난 만큼만 혜택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침체된 내수 경제를 활성화하고,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은 국민 한 분 한 분의 소비 참여가 곧 민생경제의 활력으로 이어지는 정책"이라며 "남은 기간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해 환급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 홍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청 시 주의사항

    보이스피싱 주의 상생페이백은 사전접수나 별도 수수료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문자메시지나 전화로 링크를 유도하거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보이스피싱이니 주의해야 합니다.

    환수 가능성 상생페이백 지급 후 카드 결제 취소 등으로 페이백이 과다 지급된 경우, 11월 15일 2차 지급일부터 사업 종료 후 1년간 환수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점검 매일 23:30부터 다음 날 00:30까지는 시스템 점검 시간으로 신청이 불가합니다.


    마치며

    상생페이백은 지금도 신청 가능하며, 11월 30일까지 신청하면 9~10월 소비 증가분도 소급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평소보다 카드 사용이 늘었다면 놓치지 말고 신청하여 최대 30만 원의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13만 개 가맹점에서 5년간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으며, 소득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경제적 실익이 큽니다. 소비자 개인의 혜택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만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상생 경제를 실현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문의처

    • 상생페이백 전용 콜센터: 1533-2800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전용 콜센터: 1670-1600
    • 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상생페이백.kr







    다음 이전